2015 영어과 교육과정의 영어 형식에서 조동사 항목을 보면 다음과 같은 문장이 나온다.
He suggested that they (should) play baseball.
또한, 주절에 suggest가 쓰이고 목적어로 that절이 오면 that절에는 조동사 should를 쓰고, 조동사 다음에는 동사원형이 쓰이면, "의무"나 "당위성"을 의미하며, 이때 조동사 should는 생략할 수 있으므로 주절의 주어와 시제에 상관없이 play처럼 동사 원형을 쓴다는 것을 이 문장을 보여 준다.
고등학교 수준의 언어 형식으로 제시된 이 문장은 그래서, 수능을 준비하는 수험생이나 영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는 suggest 다음에 that절이 오면 주어와 시제 불문하고 항상 동사 원형이 온다고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예외 없는 규칙이 없듯이, 이는 아주 영어 어법을 매우 오해하고 있는 것 중의 하나다. 다음 문장을 살펴보면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Some evidence suggested that stress does not always have a negative effective on learning. (어떤 증거는 스트레스가 항상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위 문장을 다음과 쓰면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Some evidence suggested that stress (should) do not always have a negative effective on learning. (어떤 증거는 스트레스가 항상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고 제안한다.)
스트레스가 학습에 당연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고 당연하게 제안할 수 있는가? should do를 쓰면 어딘가 모르게 어색한 문장이 된다. 즉, 이 문장은 의무나 당위성을 뜻하는 말이 아니고, 단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나타내므로 should do를 쓰면 오히려 어색한 문장이 된다.
suggest와 비슷하게 "주장, 요구, 의무, 결정, 권고" 등을 뜻하는 동사 중에 insist도 이와 같이 "should 동사원형"을 쓰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Tom insisted that his son (should) always come home early.
(Tom은 그의 아들이 항상 일찍 집에 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위 문장은 의무나 당위성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that절의 동사는 주절의 시제와 that절의 주어에 관계없이 동사원형을 쓸 수 있다. 하지만, 이것도 suggest처럼 절대적인 진리가 아니다.
다음은 수능에서 나온 문장의 하나다.
Many witnesses insisted that the accident should take place on the crosswalk.
(많은 목격자들은 사고가 횡단보도에서 일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문장은 "사고가 일어나야 한다는 당위성이나 의무"가 되는데, 얼마나 비인간적인 말이 되는가?
즉, 이 문장을 상식선에선 아무리 봐도 어색한 것이 된다. 따라서 위 문장은 다음과 같이 바꾸어야 적절한 문장이 될 수 있다.
Many witnesses insisted that the accident had taken (또는 took) place on the crosswalk.
(많은 목격자들은 사고가 횡단보도에서 일어났다고 주장했다.)
이상으로 주의해야 할 insist와 suggest의 뜻과 용법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